THE NEXT-GEN PLAYGROUND

천편일률적 구조,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는 놀이터가 등장했다. 아이들을 위한, 아이들에 의한 공간들이다.


창의성과 도시감각을 담은 차세대 어린이 놀이터 7선!

1.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어린이 놀이터 - 예루살렘 ‘펀 랜드’

2. 아이가 주도하는 놀이터 - 프라하 ‘나미 플레이 파빌리온’

3. 아이의 눈높이에서 재구성된 도시 놀이터 - 말라가 ‘스마트 시티 키즈’

4. 예술과 놀이의 만남, 예술놀이터 - 모스트바 현대예술센터 GES-2’

5. 아이와 만든 놀이터 - 네덜란드 ‘알메레’

6.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역사 놀이터 - 이스탄불 ‘토파네 공원’

7. 무한한 상상력의 건축 놀이터 - 덴마트 ‘스튜디오 몬스트룸’



📍도시의 역사와 미래를 담은 어린이 공간, 예루살렘 ‘펀 랜드’

예루살렘 펀 랜드 어린이 놀이 공간이스라엘 예루살렘 구시가지와 신시가지의 경계에 있는 더 데이비드 시타델 호텔 지하에는 날마다 아이들이 모인다.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놀이로 풀어낸 400㎡ 규모의 어린이 공간 ‘펀 랜드’가 자리하기 때문. 공간을 설계한 디자인 스튜디오 사릿 샤니 하이(Sarit Shani Hay)는 예루살렘 터널을 연상시키는 무대, 마하네 예후다 시장의 과일과 채소 가판대 등 도시의 다양한 요소들을 놀이 공간으로 구현했다. 또한 탁구, 체조, 권투 등 다채로운 운동 공간을 마련해 아이들이 자유로이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도록 했다.

🌏 www.thedavidcitadel.com




📍아이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높이는 프라하 ‘나미 플라이 파빌리온’

프라하 나미 플레이 파빌리온 외관아이들이 직접 놀이 방법, 규칙을 만드는 놀이 공간은 어떤 모습일까? 체코 프라하 3구 주거 단지의 작은 공터에 세워진 ‘나미 플레이 파빌리온’은 이러한 궁금증을 풀어준다. 기존 놀이터의 틀을 깨고 자유 놀이의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해 세운 33㎡ 규모의 원형 파빌리온은 모래 위에 천이나 돌멩이, 플라스틱 파이프, 로프 등을 늘어놓아 아이들 스스로 원하는 놀이 방식을 탐색할 수 있게 했다. 또한 파빌리온 외벽에는 ‘아이의 놀이에 과도하게 개입하지 말라’의 메시지를 적어놓아 어른들에게도 진정한 놀이의 의미, 방식을 성찰하게 한다.

🌏 www.naminami.studio




📍아이의 눈높이에 맞춘 도시 ‘스마트 시티 키즈’

스페인 말라가 스마크 시티 키즈의 유아 놀이 공간

지난해 스페인 말라가에 여러 채의 박공 공간이 등장했다. 이름하여 ‘스마트 시티 키즈(Smart City Kids)’. 단순한 놀이시설을 넘어, 생후 0세부터 3세까지 생애 가장 연약한 시기를 보내는 유아들을 위한 공간이자 건축가 페란 벤투라(Ferran Ventura)의 섬세한 건축적 실험이다. 건축가는 성인에게 맞춰진 도시의 스케일, 속도에서 벗어나 아이의 하루 루틴을 따라 각각의 공간을 설계했다. 다양한 형태의 놀이 공간은 물론, 부모와 간단히 피크닉을 즐기고 낮잠을 즐길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 www.ferranventura.com



📍예술과 놀이가 만났을 때, ‘모스크바 GES-2’

모스크바  GES-2 어린이 예술 공간

1907년 도시 트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세운 러시아 모스크바의 발전소를 2021년 리모델링해 완성한 현대예술센터 GES-2. 누구나 손쉽게 예술을 경험할 수 있는 문화 공간을 지향했다. 어린이라고 예외는 없는 법. 숲을 연상시키는 실내 놀이 공간을 만들어 동화 속 주인공이 되는 상상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예술가 워크숍 공간을 어린이 버전으로 꾸며 스스로 작품을 만들어볼 수 있도록 했다. 재봉틀, 물레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전문가를 상주시키는 등 아이들의 안전까지 신경 썼다.

🌏 www.ges-2.org



📍아이들의 그림에서 출발한 조형 놀이터 ‘알메레 볼티모어 광장’ 네덜란드 알메레 아이 그림 기반 조형물

아이들의 그림에서 출발한 조형물 네덜란드 알메레 지역, 늘 주민들로 붐비는 볼티모어 광장에 2022년 새로운 예술 조형물이 들어섰다. 35m 길이의 푸른 강철 구조물로 도시 건축 중심의 작업을 이어온 디자인 스튜디오 아트텐더스와 그래픽 디자이너 스튜디오 스파스가 협업해 완성했다. 구조물은 공공미술 작품이자 놀이기구로 자리하는데, 지역 아이들이 그린 이미지를 적극 활용하고 주민들의 투표를 거쳐 디자인을 선택했다. 유기적인 곡선에 구멍 뚫린 구조물 사이로 아이들은 뛰거나 기어오르며 저마다의 놀이법을 고안해낸다고.




📍과거와 현재를 머금은 미래 세대 공간 이스탄불 ‘토파네 공원’

이스탄불 토파네 공원 속 전통 기반 조형 놀이터

이스탄불의 고풍스러운 분수대와 현대미술관이 함께 자리하는 토파네(Tophane) 공원 중심부는 유기적인 형태의 조형물이 시선을 잡아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을 거점으로 활동하며 놀이터를 주로 디자인하는 스튜디오 카르베(Carve)의 새로운 작품으로 모든 연령대가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되었다. 카르베 스튜디오는 현대미술관에서 튀어나온 듯한 조형물의 형태를 통해 공원의 지리적 특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재료 선택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현지 대리석과 목재, 에게 해안의 모래를 튀르키예 전통 석조 기술로 가공함으로써 역사적인 맥락이 담긴 현대 놀이 공간을 구현했다.

🌏 www.carve.nl



📍무한한 상상력과 스토리텔링이 살아있는 건축 놀이터 ‘몬스트룸’

덴마크  몬스트룸의 고래 모양 창의 놀이터

무한한 상상력의 건축적 놀이터 대부분의 놀이터는 가설치 놀이기구들을 여러 개 늘어놓은 형태를 취한다. 2003년 덴마크 무대 디자이너 올레 닐센(Ole Nielsen)을 중심으로 설립된 스튜디오 몬스트룸은 이런 보편적 놀이터 디자인에 늘 새로운 화두를 던진다. 거대한 고래, 로봇, 성곽 등 아이들의 동화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건축적 조형물을 활용해 놀이터를 만드는 것. 이들은 이러한 방향성을 근간으로 덴마크, 영국, 미국 등 전 세계 수많은 나라에 랜드마크적인 놀이터를 선보이고 있다. 또한 몬스트룸의 놀이터는 이색적인 형태뿐 아니라 튼튼하고 섬세하게 지어져 각기 다른 신체 능력 소유자, 연령대가 마음 편히 놀이 시간을 즐길 수 있다.

🌏 www.monstrum.dk




#어린이 #키즈 #어린이놀이터 #놀이터 #공간디자인 #예술과놀이 #유럽놀이터 #아이와함께 #도시놀이터 #아이를위한공간


Editor 유승현